ETF 수익률 순위 TOP 정리 : 2025년 상반기 가장 많이 오른 ETF는?
ETF 투자 시작하려고 하는데, 어떤 상품이 진짜 잘 올랐을까?
저도 처음 ETF 공부할 때 가장 궁금했던 게 이거였어요. 수익률 좋은 상품이 뭔지 알면 그냥 그거 사면되는 거 아냐?라는 단순한 생각도 했었죠.
그런데 막상 들여다보면 단순히 순위만 보는 게 다가 아니더라고요. 어떤 ETF가 많이 올랐는지를 보면, 그 안에 담긴 산업 트렌드와 투자자들의 관심사가 함께 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2025년 상반기 기준으로 수익률이 가장 좋았던 ETF들을 정리하면서, 그 속에 담긴 흐름까지 같이 풀어보려 합니다.
왜 ETF 수익률 순위를 봐야 할까?
ETF는 결국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예요. 개별 기업이 아니라 산업이나 테마 전체에 투자하는 거죠. 그래서 수익률 순위를 보면 단순히 상품 하나의 성적표를 보는 게 아니라, 시장에서 어떤 분야가 가장 뜨거웠는지 읽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반도체 ETF가 상위권에 있다면 👉 AI 반도체 수요가 강하구나 하고 짐작할 수 있고, 나스닥 레버리지가 압도적으로 올랐다면 👉 기술주 장세가 돌아왔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즉, 순위는 단순한 재미가 아니라 앞으로 내가 어디에 돈을 실을지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을 줍니다.
2025년 상반기 ETF 수익률 TOP 5 (국내)
올해 상반기, 국내 ETF 중에서 눈에 띄게 수익률이 높았던 상품들을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1️⃣ TIGER 미국나스닥 100 레버리지
- 수익률: 약 +74%
- 특징: 나스닥 100 지수를 2배 추종하는 상품.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같은 기술주 급등의 덕을 톡톡히 봤습니다.
- 💬 사실 제 주변에서도 이 ETF로 재미 본 분이 많았는데, 반대로 타이밍 놓쳐서 들어간 사람들은 변동성 때문에 멘털이 많이 흔들리기도 했어요.
2️⃣ KODEX 반도체 TOP10
- 수익률: +61%
- 특징: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비중이 높은 ETF. 올해 반도체, 특히 HBM3와 AI GPU 관련 뉴스가 많았죠. 그 흐름을 고스란히 담았습니다.
3️⃣ KINDEX 미국 S & P500 레버리지(합성)
- 수익률: +58%
- 특징: S & P500이 안정적으로 상승한 덕분에 레버리지가 큰 성과를 냈습니다.
- 하지만 합성형 구조라서 초보자라면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어요.
4️⃣ KBSTAR 글로벌 AI산업
- 수익률: +43%
- 특징: AI 관련 빅테크 기업들로 구성. 엔비디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종목들이 주축이라 장기 성장성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5️⃣ TIGER 2차 전지 테마
- 수익률: +39%
- 특징: 배터리 3사 중심 ETF. 작년엔 조정이 컸는데, 올해 다시 테슬라 공급망 이슈와 함께 반등을 보였습니다.
미국 ETF 수익률 TOP 3 (달러 기준)
국내뿐 아니라 미국 시장 ETF도 잠깐 짚어볼게요.
1️⃣ TQQQ (ProShares UltraPro QQQ) +91%
: 나스닥 100을 3배로 추종하는 초고위험 ETF. 상승장에서는 무섭게 오릅니다.
2️⃣ SOXL (Direxion Daily Semiconductor Bull 3X) +83%
: 반도체 3배 ETF. AI 열풍 덕분에 폭발적인 상승.
3️⃣ META ETF (메타버스 테마) +41%
: 한동안 잠잠하던 메타버스 테마도 반등세를 보이며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상위 ETF들의 공통점은?
✔ 기술주 중심
반도체, AI, 나스닥, 메타버스 올해도 결국 기술주가 시장의 중심이었습니다.
✔ 레버리지 강세
상승장에서 수익률을 키운 건 레버리지 ETF였어요. 다만 반대로 떨어질 땐 손실도 2~3배라는 점, 잊으면 안 됩니다.
✔ 글로벌 트렌드 반영
결국 미국 기술주 흐름이 국내 ETF까지 이끌고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죠.
수익률만 보고 사도 될까?
솔직히 말하면 절대 안 됩니다. 😅
수익률이 높아 보이면 당장 사고 싶지만, ETF는 그 안에 담긴 종목 구성이 다르고, 레버리지 구조인지 아닌지에 따라 리스크가 완전히 달라져요.
- 반도체 ETF라도 삼성전자 위주인지, 글로벌 기업이 섞였는지 확인
- 레버리지 여부 체크: 2배, 3배 구조는 단기 트레이딩 성격이 강함
- 거래량: 수익률 좋아도 거래량이 적으면 매매가 불리할 수 있음
ETF 투자 전략, 이렇게 해보자
- 단기 vs 장기 구분
- 단기: 레버리지 테마 ETF
- 장기: S P500, 배당 ETF, AI/반도체 ETF
- 분할 매수 원칙
- 한 번에 크게는 위험. 조금씩 나눠서 사는 게 환율 주가 변동에도 덜 흔들립니다.
- 국내+해외 분산
- 원화 ETF와 달러 ETF를 섞어야 환율 리스크도 분산됩니다.
마무리 : 순위는 단순한 랭킹이 아니다
2025년 상반기 ETF 수익률 순위를 정리해 보니, 단순히 뭘 샀으면 돈 벌었을까 라는 아쉬움보다 시장이 어디로 흐르고 있는지 더 잘 보입니다.
올해도 역시 키워드는 AI, 반도체, 기술주였고, 레버리지가 그 흐름을 크게 키웠습니다. 하지만 수익률만 보고 달려드는 건 위험해요. 결국 중요한 건 내 투자 목적에 맞는 ETF인가?”라는 질문이니까요.
순위는 참고일 뿐, 나만의 기준을 세워서 ETF를 고른다면 훨씬 안정적이고, 또 즐거운 투자가 될 수 있을 겁니다.
※ 이 글은 단순 정보 제공을 위한 글이며, 특정 ETF 매수 매도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