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이 또 올랐어요. 1g에 63만 원... 너무 늦은 거 아닐까요?"
최근 뉴스 보셨어요?
2025년 들어 금 시세가 계속해서 오르면 사상 최고치에 근접하고 있어요.
몇 년 전까지 1g 당 40만 원대였던 금이, 지금은 60만 원대를 훌쩍 넘으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면, 지금이라도 금 투 자해도 될까요?
금값을 왜 오르는 걸까요?
1. 금값 상승, 단순히 유행일까요?
올해 초부터 금값이 오르는 가장 큰 이유는 "불확실성" 때문이예요.
▶ 미국. 중국 무역 갈등 재점화
▶ 중동 지역 긴장 고조
▶ 글로벌 경제 성장률 둔화
▶ 미국 기준금리 동결 or 인하 가능성
세상이 흔들릴수록, 믿을 건 금밖에 없다는 분위기 형성
☞ 금 = 전 세계가 공통으로 인정하는 '가치 저장 수단'이에요.
나라가 망해도 금은 남고,
통화가 무너져도 금은 쓸 수 있고,
인플레이션이 와도 금값은 보존되거나 오르죠.
2. 금 투자, 어떻게 시작할 수 있을까요?
금 투자는 생각보다 다양하고 간단!!
1) 금 통장
▶ 은행 앱 (하나, 신한, 국민)에서 바로 개설 가능!
▶ 0.01g 단위로 자동 적립도 가능해요.
▶ 소액 투자자에게 추천!
2) 금 ETF
▶ KODEX 골드선물(H), TIGER 금은 등등
▶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어서 유동성이 높아요!
3) 골드바 실물 구입
▶ 한국조폐공사, 금은방 등에서 직접 구매
▶ 부가세 (10%) 포함 주의!
3. 금 투자,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 경기 침체 우려가 클 때
▶ 환율 변동성이 클 때
▶ 주식시장 변동성이 커질 때
▶ 인플레이션 우려가 있을 때
현재 2025년은 위의 모든 조건이 겹쳐있는 상태 그래서 금이 이슈 중심에 떠올랐어요
경제가 흔들릴수록,
진짜 투자자들은 '가치 보존'에 집중한다고 합니다.
지금, 우리가 금을 다시 들여다봐야 하는 이유입니다.
※ 본 글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단순한 정보 공유입니다.
모든 투자 판단과 결과는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오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수지 흑자 적자 무역수지 (0) | 2025.05.09 |
---|---|
어버이날 소비 트렌드와 고령경제의 현실 부모님을 위한 '진짜 효도' (2) | 2025.05.08 |
KR 미국과 손잡고, 중국을 막는다? 2025 한미 2+2 통상협의 핵심 요약 (0) | 2025.04.21 |
환율 1,500원 시대. 지금 달러를 살까? 말까? (1) | 2025.04.10 |
2025년 4월 경제 파도 속~ 관세, 환율, 투자 지금 체크해야 할 것들!! (1)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