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 뉴스

경상수지 흑자 적자 무역수지

by bujagoldmom 2025. 5. 9.

주식이나 경제 뉴스에서 자주 듣는 단어 경상수지, 경상수지 흑자, 경상수지 적자, 무역수지입니다.

우리나라는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 라 외국과의 거래가 중요하기 때문에 이 단어들이 더 많이 등장합니다.

제가 실제로 주식 공부하면서 느꼈던 경험과 이 개념들을 초등학생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겠습니다.

 

경상수지란?  외국과 돈 주고받기 통장입니다

경상수지는 우리나라가 외국하고 물건, 서비스, 돈을 주고받은 내용을 기록한 장부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우리 가족이 외국에 살고 있는 친구들과 물건을 사고팔고, 용돈을 주고받고, 일을 해서 돈도 벌고 이런 모든 내용을 적어놓은 수첩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상품수지 : 물건을 사고 판 기록입니다.

                            예) 삼성 휴대폰을 미국에 팔았다면 상품 수출입니다.

서비스 수지 : 관광, 금융, 운송처럼 ' 눈에 보이지 않는 서비스'를 사고팔 때입니다.

                           예) 우리가 외국 여행 가서 사용 한 돈,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여행하며 쓴 돈입니다.

소득 수지 : 외국에 나가서 일해서 번 돈,  외국 주식에서 받은 이자, 배당금 등입니다.

 

경상이전 수지: 주고받는 돈입니다.

                            예) 해외에 사는 가족이 우리나라에 송금한 돈, 정부가 무상원조 한 돈입니다.

 

경상수지-흑자-적자-무역수지-사진

무역수지란? 물건을 사고, 팔고 한 건만 계산한 것입니다

무역수지는 '물건'사고, 팔고 한 내역을 말합니다.

경상수지 안의 '상품 수지'와 비슷하지만 약간 다른 점이 있습니다.

 

경상수지와 무역수지의 차이점

​무역수지 : '물건이 세관을 통과한 시점'을 기준으로 합니다.

상품수지 : '물건의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느냐'를 기준으로 합니다.

 

예) 어떤 외국 회사가 우리나라 회사에 돈을 주고 물건을 주문했지만 아직 배에 실리지 않았다고 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상품 수지에는 들어가지만 무역수지에는 아직 포한되지 않습니다.

 

☞ 이 차이를 알게 된 후 뉴스에서 '무역수지는 줄었는데 경상수지는 괜찮다'는 말을 들었을 때 이해가 되었습니다. 

 

경상수지 흑자, 경상수지 적자, 경상수지 악화

뉴스에서 "경상수지 흑자", "경상수지 적자", "경상수지 악화"라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어떤 의미일까요?

 

흑자 : 외국에서 더 많은 돈을 벌어들였다는 뜻입니다.

적자 : 외국에 더 많은 돈을 썼다는 의미입니다.

악화 : 지난번 보다 상황이 나빠졌다는 표현입니다. 

                 흑자가 줄었거나 적자가 더 커진 것입니다.

 

☞ 주식을 하면서 제가 느낀 점은 이런 지표가 좋으면 외국인 투자자들도 우리나라 시장을 더 좋게 본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경상수지나 무역수지는 투자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걸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경상수지 vs 무역수지

구분 의미  
경상수지 와국과의 모든 돈 거래 관련 기록 상품, 서비스, 소득, 경상이전 등
무역수지 외국과의 상품(물건) 거래만 따로 계산 수출, 수입

경제 뉴스가 재미있어지는 순간이 옵니다!

​처음에 "경상수지? 무역수지? 어려워 모르겠어. 패스!" 했었습니다.

그러다 주식을 공부하면서 자연스럽게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이 수치만 보고 우리나라 경제의 건강상태가 보이는 느낌입니다.

이 글을 보신 여러분도 이제는 뉴스에서 나오는 '경상수지, 흑자, 적자, 무역수지'라는 말에 더 이상 당황하지 마세요.

 

경제는 멀리 있는 게 아닙니다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현실입니다